中 유람선사고, 세월호와 원인은 비슷 대응은 달라

2015년 6월 4일   정 용재 에디터

PYH2015060415670008300_P2

통곡의 강’으로 변해가는 중국 젠리현 양쯔강(젠리현<후베이성>=연합뉴스) 이준삼 특파원 = 4일 오후 2시10분께 중국 ‘둥팡즈싱’ 여객선 침몰 현장. 구조대원들이 선체를 절개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2015.6.4 jslee@yna.co.kr


다양한 방식 동원하며 실행 신속히…

세월호 지켜본 ‘학습효과’도 있는 듯  

AKR20150604079200089_01_i

(상하이=연합뉴스) 한승호 특파원 = 중국 양쯔

(揚子)강 유람선 침몰사고가 한국의 세월호 사고와

원인은 유사하지만 당국의 대응에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

중국 당국은 사고발생 사흘째인 3일 밤 고심을

거듭한 끝에 전복된 ‘둥팡즈싱'(東方之星·동방의 별)

의 수면 위로 드러난 선박 바닥에 가로 55㎝,

세로 60㎝ 크기의 구멍을 뚫고 잠수요원들을

투입했다.

.

침몰선을 직접 절단하는 방식은 선박 안에

남아 있는 공기층인 ‘에어포켓’으로 떠 있는

선박을 가라앉게 할 수 있어 구조를 기다리고

있을 수 있는 승객들에게 오히려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에도 강행에 나선 것이다.

.

중국 신화통신은 “사고 발생 48시간이 지난

뒤에야 절단 방식 구조에 나선 것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선박 고정 등 사전 절차가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당국은 앞서 대형 크레인선 2척을 현장에

대기시키고 침몰선과 와이어(철선)로 연결해

선박을 고정시켜 선박 절단시 선체가 가라앉는

현상에 대비했다. 부작용을 최소화 하려는 조치다.

.

이런 노력에도 생존자를 구하지는 못한 채

시신만을 추가로 수습하는데 그쳤지만, 접근지점

선박 내부 사정을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는

성과도 냈다.

.

당국은 잠수요원이 직접 수면 밑으로 선체에

접근하는 구조 방식을 계속 실시하면서 선체

자체를 세워서 인양하는 구조 방식도 검토하고

있다.

.

이처럼 구조를 위해 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동원하고 신속하게 실행에 옮기는 점은 세월호

침몰 당시 대응과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

세월호 구조 당국은 당시 논란을 거듭하면서도

선체를 절단하거나 인양하는 방식을 실제 구조에

활용하지 못하고 잠수요원들의 직접 구조 방식을

고수했다.

.

이번 중국 유람선이 침몰한 장소가 수심이

얕은 하천인데 비해 세월호 침몰 지점은 서해

앞바다였다는 점 등 구조 여건이 상당히 달라

맞비교에 어려운 점이 있지만 대응방식에 차이는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

.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한국은 안전행정부에

설치된 범정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사회재난의 총괄기능을 맡기고 있었으나 사고

발생 초기부터 늑장과 부실한 대응으로

‘컨트롤타워’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

중국 유람선 사고 발생 직후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이 ‘국무원 중심의 사고 대책 강구’ 지시를

내린데 이어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신속하게

현장에 도착해 구조를 지휘하고 있는 점과

대비된다.

.

이같은 차이는 대형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중국이 1년가량 전에 이웃 나라인 한국에서

발생한 대형 선박 참사를 지켜본 ‘학습효과’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

중국 인터넷 매체 ‘BWCHINESE’는 전날 세월호

사고 당시 한국 당국이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명구조의 적기를 놓친 점을 교훈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

중국 매체들은 앞서 유람선 선장이 사고가 발생한

직후 배를 버리고 먼저 탈출한 점과 사고 선박이

1994년 건조 이후 수차례 불법 개조된 점, 당국의

기상악화 경고에도 무리한 운항에 나선 점 등을

지적해 이번 사고가 ‘중국판 세월호 사고’가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

hsh@yna.co.kr

.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