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제 새끼들을 죽이는 게 너무 힘듭니다…”(사진 3장)

2017년 2월 9일   정 용재 에디터

▼사진출처 : 연합뉴스(이하)


YONHAP NO-263 SEOK


AI·구제역 매년 되풀이…’다닥다닥’ 밀식사육이 문제

“극도의 스트레스로 면역력 약화…AI·구제역 확산 주요 원인”

2012년 도입 ‘동물복지 인증제’ 수익·지원 적어 축산농 외면

(전국종합=연합뉴스) 전창해 기자 = ‘A4 용지 한 장 크기도 되지 않는 케이지 속에서 옴짝달싹하지 못하는 닭, 철제 감금 틀에 갇혀 출산을 반복하는 돼지, 평생 비좁은 축사 안을 맴돌며 우유를 생산하는 젖소…’

올겨울 조류 인플루엔자(AI)에 이어 구제역까지 동물 전염병이 한반도를 강타하면서 생산성만을 좇는 가축의 밀식 사육 방식에 대해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다시금 높아지고 있다.

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6일 전남 해남과 충북 음성에서 AI 최초 신고가 접수된 이후 이날까지 국내 가금류 농가 사육 마릿수의 20% 정도인 3천312만마리가 살처분됐다.

과거 AI 최대 피해로 기록됐던 2014∼2015년 517일간 살처분된 1천937만마리를 휠씬 뛰어넘는 규모다.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데는 살처분에만 의존한 방역체계도 문제이지만, 효용성에만 집착해 마치 거대한 공장처럼 운영되는 밀식 사육 방식에도 기인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현행 축산법을 보면 알 낳는 닭을 기준으로 1마리의 최소 사육 면적은 A4 용지(0.062㎡) 한 장도 되지 않는 0.05㎡다. 축산 당국이 양계농장을 일일이 조사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런 기준조차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일부 농가에서는 수면 주기를 짧게 하거나 강제 털갈이 등으로 달걀 생산량을 늘리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런 열악한 조건에서 자란 닭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내성도 약해져 AI와 같은 전염병이 유입되면 삽시간에 번지게 된다.

이원복 한국동물보호연합 대표는 “양계장에 직접 가보면 좁은 케이지를 4∼5단으로 쌓아 올려 그 안에 닭을 꼼짝 못 하게 가둬놓고 기른다”며 “닭이 병에 걸리지 않는 게 이상할 정도의 사육환경”이라고 지적했다.
2

돼지도 마찬가지다.

수많은 돼지 사육농가에서는 새끼를 낳는 어미돼지를 ‘스톨’이라 불리는 철제 감금 틀에 가둬놓고 인공수정과 출산을 반복한다. 스톨의 크기는 보통 가로 60㎝, 세로 210㎝ 정도다.

이 안에서 운동 능력이 퇴화한 어미돼지는 풀어줘도 제대로 움직이지 못한다.

극도의 스트레스로 서로를 공격하는 돼지도 생겨나는 데 이를 막고자 돼지의 앞니를 뽑기도 한다.

보통 큰 우리에 풀어놓고 기르는 소 역시 닭이나 돼지 정도는 아니지만 축사 밀집도 면에서 나을 게 없다.

이런 밀식 사육은 일단 전염병이 돌면 대규모 피해를 면키 어렵다. 지난 5일 올겨울 첫 구제역이 발생한 충북 보은군의 젖소 사육농장은 195마리에 달하는 젖소를 한꺼번에 살처분·매몰하는 피해를 비켜가지 못했다.

닭의 케이지 사육이나 어미돼지의 스톨 사육은 유럽에선 이미 오래전부터 법으로 금지된 사육방식이다.

1960년대부터 공장식 축산업이 문제 돼 인도적 사육환경을 조성하자는 ‘동물 복지’ 개념이 확산했다.

영국의 경우 1980년대 광우병과 구제역 파동을 겪으며 동물 복지농장이 대안으로 대두했다.

밀식 사육이 전염병 확산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경험으로 체득한 셈이다.

우리나라도 2012년 ‘동물 복지 인증제도’를 도입하기는 했다.

1

최대 사육 밀도 제한과 깨끗한 물과 사료의 충분한 공급 등이 골자다.

5년이란 시간이 지났지만 현재 등록 농가는 닭을 중심으로 100여곳에 그치고 있다.

비용 대비 수익이 나지 않는 데다 정부 지원도 부족한 탓이다.

시설 투자에 따른 생산비는 많이 들어가는 데 동물 복지 인증 마크를 달더라도 시장에서 제값을 받기 힘들다는 게 동물복지 인증 농장주들의 한결같은 푸념이다.

별다른 정부 지원책이 없는 것도 참여가 부진한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한때 동물복지 인증 직불금 시행이 검토되기도 했지만 부처 간 이견으로 무산됐다.

황성구 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처럼 밀식 사육 환경에서는 구제역 등 전염병에 쉽게 노출되고 대응하기도 힘들다”며 “소나 돼지가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항체 형성률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동물 복지농장 1호 인증을 받은 홍기훈(58)씨는 “농가들도 밀식사육을 하면 동물의 면역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같은 면적에서 동물 복지농장보다 최고 10배에 달하는 닭을 사육할 수 있는 현재의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며 “동물복지 인증제도를 전면적으로 시행하기 어렵다면 사육 공간을 늘리는 법 개정이 검토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jeonch@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