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부터 시간까지” 북한 사람들이 빼앗긴 ‘자유’ 13가지 (사진 13장)

2017년 5월 23일   정 용재 에디터

0


북한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외부와의 접촉이 단절된 국가다. 물론 국가로 인정할 수 없지만 말이다.

공산주의 체계 속에서 주민들은 엄격한 통제를 받고 있고 이는 지구 반대편의 뉴스를 순식간에 접할 수 있는 모바일 시대에 안타까운 현실이다.

우리는 당연히 여기지만 북에서는 ‘엄격히’ 금지된 것들을 알아보자.

1

13. 개인 소유 차량

북한에서는 개인의 차량 소유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심지어 운전면허증도 정부 허가를 받은 사람만이 취득할 수 있다.

평양을 제외한 도시에서는 일반 개인용 승용차는 거의 보기가 힘든 게 현실이다.

2

12. 개인 휴가

근로시간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가 바로 북한이다.

북한은 법적으로 주 7일 중에 주 6일을 근무해야만 하고 일요일은 상황에 따라서 반강제적으로 근무하도록 강요받는다.

최근 북한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70일 연속 근무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만약 개인 휴가를 쓰기 위해서는 돈을 주고 개인 휴일을 사야 한다고.

현재 월급으로도 배고픔에 힘들어하는 노동자들에게 휴가를 사는 건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3

11. 북한에서만 사용하는 달력

북한에서는 1912년 김일성이 태어난 해를 주체 1년으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2017년을 북한에서는 ‘주체 106,2017’이라고 부르는 것.

정부 기관과 외교문서에서도 주체 연도를 병행 표기하고 있어서 주체 달력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있다.

4

10. 언론의 자유

북한에서는 공공장소에서 개인의 의견을 말하는 것이 금지되어있다.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말을 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 누구나 수용소로 보내져서 평생 중노동을 해야만 하기에 아무리 친한 친구나 가족도 믿지 못한다.

사석에서 한 아기들도 전부 처벌의 대상이 되기 때문인데 이런 체제가 지금까지 유지되는 것이 신기할 따름이다.

5

9. 외부 방송

북한에는 현재 4개의 채널을 보유하고 있다.

매일 방송되는 조선중앙 TV, 주말과 명절에 전통 공연과 영화를 송출하는 만수대 TV, 월수금에 교육방송 채널인 룡남산TV가 그것인데 2015년에 통치의 수단으로 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스포츠 TV도 개국했다.

어느 채널도 북한 밖의 뉴스와 영화를 그대로 방영해 주는 곳은 없고 모두 정부 관계자의 확인을 받고 편집된 자료만 방영된다.

6

8. 음악

북한에서는 허용된 음악만이 불리고 연주할 수 있다.

노래를 통해서 외부 세계의 문화가 국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작사와 작곡은 자유롭게 할 수 있지만 최종 확인을 정부로부터 받아야 한다.

7

7. 종교의 자유

북한의 헌법에서는 종교의 자유를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다르다. 고려 시대부터 믿어온 종교인 불교만 제한적으로 허용한다. 물론 평양에는 봉수교회와 장충성당이 있지만 이 건물들은 철저하게 가짜이고 신자들은 일반인이 아닌 특수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라고 한다.

실제로 북한 내에는 지도자를 부정하고 하나님을 믿는 기독교 신자들이 지하교회 안에 있는데 그들은 언제 발각될지 모르는 두려움 속에서 종교 생활을 이어나가는 처지라고.

8

6. 인터넷

북한 내에서 외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다.

북한 내에서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있는 사이트는 북한 정부에서 관리하는 30여 개뿐(국가기관 홍보, 북한의 역사, 북한 내 유명 지역 홍보 등).

게다가 대부분의 사람이 비싼 컴퓨터를 개인이 소유하고 있지 않으며, 전기 부족으로 인해서 사용시간도 제한되어 있다.

9

5. 사진 촬영

북한은 남한을 제외한 모든 국가 사람들이 여행할 수 있는 국가이지만, 자유여행은 엄격하게 금지되어 있고, 패키지여행만 가능하다.

북한 정부에서 외부인에게 보여주고 싶은 곳만 공개하기 때문인데 사진 촬영도 정해진 곳에서만 허용되고 정해진 장소에서 정해진 시간 이외에 찍은 사진은 모두 정부 담당자의 확인을 받아야만 한다.

10

4. 서양의 옷

몇 년 전부터 북한 정부는 주민들의 헤어스타일과 의상을 철저하게 제한하고 있다.

서양의 화려한 디자인 옷들, 청바지도 제한할 뿐 아니라 크기가 큰 귀걸이나 목걸이들도 당연히 금지되어 있다.

서양을 주적으로 생각하는 북한이기에 그들의 문화가 담긴 액세서리를 이용하는 것은 큰 범죄행위다.

11

3. 음식

북한 정부는 매년 국민이 풍족한 삶을 살고 있다고 홍보하지만, 그걸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북한은 최근에 자연재해와 기근으로 굶어 죽는 사람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고 1995년 이후로 북한 내 식량 생산량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구호단체의 자료에 의하면 김정은 집권 이후에 지금까지 굶주림으로 죽은 사람이 수십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12

2. 전기

북한 전기 상황을 알려주는 위성사진이 공개되어 한때 큰 화제를 일으킨 바 있다.

일반 가정은 하루에 몇 시간만 전기를 사용할 수 있어 냉장고 사용이 불가능하고 날이 어두워지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13

1. 주택 소유

북한에서 주택의 구매, 판매, 개인 임대는 불법이다.

북한 내에 모든 부동산은 국가 및 협동단체 소유이기 때문에 모든 개인은 주택을 소유할 수 없어 소유 단체로부터 주택을 임대받아서 살아야 한다.

한번 정해진 집을 바꾸려면 개인 간 매매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집과 1:1 교환만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거래 방법이다.

온라인 이슈팀 <제보 및 보도자료 editor@postshare.co.kr 저작권자(c) 포스트쉐어> / 출처 = ‘당신을 위한 정보’ //istore.tistory.com/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