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여성 기자가 정신병원의 실태를 고발하기 위해 잠입 취재에 나섰다.
최근 온라인 미디어 엘리트리더스는 정신병원에 10일 동안 입원하며 잠입 취재를 했던 미국의 기자 엘리자베스 코크란 시먼(Elizabeth Cochran Seaman)의 이야기를 전했다.
1864년 미국 펜실베니아 주에서 태어난 시먼은 아버지는 ‘바깥일’을 하고 어머니는 당연한 듯 ‘집안일’을 하는 모습을 보며 많은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게다가 모든 의사결정은 아버지의 몫이었다.
시먼이 태어났을 당시는 여성들이 목소리를 낼 수 없던 시기였다. 정치 참여는 물론이고 사회적 진출에도 제약이 심해 직업을 얻기도 힘들었다.
이런 분위기에 큰 불만을 갖고 있던 시먼은 당시 피츠버그(Pittsburgh)지역 신문사의 남성 우월주의를 옹호하는 칼럼을 비판했고, 신문사 편집장은 그녀에게 큰 감명을 받아 당사 기자로 채용했다.
기자가 된 시먼은 이때부터 ‘넬리 블라이(Nellie Bly)’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몇 년 후 시먼은 여성 섹션을 담당하게 됐고, 그녀는 여성들의 권리 신장을 위한 기사를 쓰겠다고 다짐했다. 하지만 그녀가 써야 했던 기사는 대부분 집안일에 관한 내용뿐이었다.
결국 사표를 쓰고 뉴욕에 있는 뉴욕 세계 신문사(New York World newspaper)로 이직한 시먼은 여성들의 부당한 대우를 파헤치는 기사를 쓰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그녀는 뉴욕 인근 루즈벨트섬에 있는 여성 정신병원에 위장 입원했다. 당시 뉴욕에는 여성들이 정신병원에 끌려가 무자비한 폭행과 학대를 당한다는 소문이 돌고 있었다.
직접 정신병원에 환자로 입원한 시먼은 그곳에서 끔직한 광경을 보게 된다. 그곳의 여성 환자들은 폭행과 감금, 고문, 학대 등을 당하고 있었으며 쥐와 바퀴벌레가 가득한 방에서 잠을 자고 있었다.
심지어 일부 환자들은 정신적으로 이상이 없는 정상이었다.
10일 동안 정신병원의 만행을 직접 경험한 시먼은 소속 신문사 관계자의 도움으로 무사히 퇴원할 수 있었고 기사를 쓸 수 있었다.
그렇게 공개된 ‘Ten Days in a Mad-House’라는 제목의 기사는 미국 전역에 큰 파장을 일으켰고, 본격적인 여권 신장 논의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그녀는 이후에도 여성의 권리 신장과 남성 우월주의 비판, 여성 참정권 등에 관련된 기사를 작성하고 목소리를 높이며 사회에 큰 변화를 만들어갔다.
결국 시먼이 숨지기 2년 전, 미국 정부는 여성의 참정권을 법적으로 인정했으며 모든 여성들을 투표를 할 수 있게 됐다.
그녀는 1889년 세계일주로 유명인이 되었으며, 여행에서 돌아온 후에도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다 1922년 1월 27일 사망했다.
온라인 이슈팀 <제보 및 보도자료 editor@postshare.co.kr / 저작권자(c) 포스트쉐어>, 사진 = elite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