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육로 개발을 안 한걸까? 못 한걸까?

2024년 12월 26일   정 용재 에디터

조선 시대, 육로 개발은 왜 어려웠을까? 많은 사람들이 조선이 능력이 부족해서 육로 개발을 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조선은 육로 개발을 시도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당시 기술과 환경의 한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다.

조선의 지형은 국토의 약 70%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는 현대 기술로도 쉽지 않은 도전 과제인데, 당시 조선의 기술 수준으로는 육로 개발이 더욱 힘들었다. 대신 조선은 지리적 조건과 기술적 한계를 고려해 수운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수운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물량을 한꺼번에 운송할 수 있었으며, 주요 강과 하천을 중심으로 발전해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을 제공했다.

특히, 조선은 물류의 핵심인 포구와 조운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경제와 행정을 원활하게 운영했다. 수운을 통한 물류는 육로보다 빠르고 효율적이었기 때문에 굳이 산을 깎고 길을 뚫는 데 막대한 자원을 투자하지 않았다.

결국, 조선은 육로 개발을 시도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당시의 조건에서 가장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했던 것이다. 이는 조선의 기술적·환경적 한계를 고려한 합리적인 선택으로, 단순히 능력 부족으로 육로 개발을 포기한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